영유아 발달장애 정밀진단비 지원

  • 모자/예방접종
  • 영유아 지원
  •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진단비 지원

사업대상

  • 당해연도 영유아검진 대상자 중 의료급여수급권자와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80%이하인 자로서 영유아 검진결과 발달평가 영역(대근육운동, 소근육운동, 인지, 언어, 사회성, 자조)에서 ‘심화평가 권고’ 결과가 나온 대상자
    *동일 유형의 발달장애인 등록자, 동일 유형의 발달장애로 확진 판정을 받았던 자는 제외
  • ※ 건강보험료 기준금액(검지기간 시작일이 속한 연도의 직전 연도 11월 보험료 부과금액 기준)
    • 시작일이 2023년일 경우 직장가입자(218,000원이하),지역가입자(159,500이하)

지원항목

  • 발달장애 정밀검사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검사 및 진찰료에 대한 지원(법정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포함)

    ※ 장애인진단서 발급비용, 상급병실료 차액, 특진비 등은 제외

  • 단, 영유아 건강검진 전 장애진단 받은 대상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.

지원금액

  • 검사 실패 및 재검으로 인해 여러번 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도 검사비용은 1회만 인정
  • 의료급여수급권자, 차상위계층 : 최대 40만원
  •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80%이하(차상위 제외) : 최대 20만원

지원기간

  • 당해연도 검진 대상자는 당해연도에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.
    • 다만, 3.4분기(7월~12월) 검진 수검자는 다음 연도 상반기까지 지원 가능

지원방법

  • 지원대상 가정에 '발달장애 정밀진단 대상자 확인서'(이하 '확인서'라 한다) 발급
  • 지원대상자는 지정된 검사기관을 이용하는 경우는 확인서 제출하고 정밀진단 실시하고, 별도로 원하는 검사기관을 이용하는 경우는 정밀진단비 선지급한 후 보건소에 후 청구

    ※ 지원대상자 중 발달장애로 확진된 경우 '장애아동가족지원사업으로 지원되는 재활치료서비스'를 보호자가 의사의 진단서를 가지고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시 동 서비스 신청

    ※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지정 병원 조회 : 건강IN사이트에서 (건강정보/병의원 찾기 -> 조건별검색(특성별 병원/영유아 발달정밀검사의료기관) 조회

영유아 발달장애 정밀진단 의료기관(경기도)

영유아 발달장애 정밀진단 의료기관(경기도) 경기도의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진단 의료기관으로 지정기관명,소재지,연락처로 구분되는 표 - 지정기관명, 소재지, 연락처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지정기관명 소재지 연락처
김포우리병원 경기도 김포시 감암로 11(걸포동) 031-999-1168
김포아이제일병원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8로 382 6
(구래동, 고은메디타워)
031-8083-7575
한강아이제일병원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1로 133
(운양동, 중앙프라자)
031-8048-7575
아이클소아청소년과의원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1로 288-5
(장기동, 한강베네치아)
031-8049-7507
우리소아청소년의원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 4로 507 엠스퀴어빌딩 031-996-2342
동국대학교의료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27(식사동) 031-961-9291
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100(백석동) 031-900-0189
연세최의겸정신과의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1275번길 38-10,
220호(장항동, 우림로데오스위트)
031-904-5575
인제대학교 부속일산백병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170(대화동) 031-910-7486

증빙서류

  • 건강보험증 및건강보험료 납부내역서 각1부
  • 영유아건강검진 결과통보서 1부(심화평가 권고 판정내용 포함)
  • 주민등록등본 1부
  • 진료비 영수증 원본 1부

    ※ 진료비 영수증(진료비 납입확인서)은 법정 본인부담금, 건강보험 급여· 비급여 항목 비용이 정확히 구분되어 표기되어야 함

  • 검사항목 및 검사결과가 기록된 결과통보서(정해진 서식 없음) 1부
  • 입금통장 사본 1부

공공누리 공공저작물

담당자 정보

  • 담당부서 보건사업과
  • 문의 031-5186-4155
  • 최종수정일 2023.09.08

콘텐츠 만족도 조사

지금 보고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?

만족도 조사